디카 세상/산행 사진

미륵리 사지 2 [석불입상 앞에서]

사공(최명규) 2011. 2. 8. 07:46

1. 지     정 : 사적 317호
2. 명     칭 : 중원미륵리사지(中原彌勒里寺址)
3. 소 재 지 : 충북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 58

4. 폐사시대:  조선시대 추정

5. 일반설명

  미륵리사지(寺址)는 미륵대원지(彌勒大院址)라고도 하며 석조(石造)와 목구조(木構造)를

 합성(合成)시킨 석굴사원(石窟寺院)으로 석굴(石窟)을 금당(金堂)으로 한 북향(질�)의 특이(特異)한 형식(形式)을

 취한 유일(唯一)한 유적으로 유명하다.

 

 

 

 

 

 

 

 

 

 

 

 

현재 석굴(石窟) 상부(上部)의 목구조(木構造)는 남아있지 않으나 하부(下部) 석굴(石窟) 구조물(構造物) 중앙(中央)에는

주존불(主尊佛)인 미륵여래(彌勒如來)가 안치(安置)되어있으며 1977년 발굴(發掘)에 의해 전실(前室)에 해당되는 구역에서

초석(礎石)들이 발견(發見)되어 평면(平面)의 구조(構造)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석굴(石窟) 앞쪽에는 석등(石燈)을 비롯하여 오층석탑(五層石塔)·귀부(龜趺)·당간지주(幢竿支柱)·불상대좌(佛像臺座) 등

석조물(石造物)들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들은 그 수법으로 보아 고려초기(高麗初期)인 10세기경(世紀頃)의 유물로 추정되고 있다. 

 

 

 

 

 

 

 발굴조사시(發掘調査時) 「미륵당(彌勒堂)」「명창삼년금당개개와(明昌三年金堂改蓋瓦)」등의 명문와(銘文瓦)가 출토(出土)되어

고려(高麗) 명종이십이년(明宗二十二年)(1192년) 금당(金堂)의 기와를 새로 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석굴(石窟)과

전실(前室)의 목구조(木構造)가 소실된 것은 13세기(世紀)였고 그 후 곧 복원(復元)되었다가 조선초기(朝鮮初期)에도

대중수(大重修)가 있었고 또다시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소실되었던 것을 18세기 때 다시 수리(修理)가 있었지 않았나 추정된다.

그 후 폐사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1936년에 있었던 큰 수해(水害)로 크게 피해를 입어 법등(法燈)이 끊기지 않았나 생각된다.

  경내(境內)에는 현재 보물로 지정된 석불입상(石佛立像)과 오층석탑(五層石塔)이 있고

그 외에 석등(石燈)·삼층석탑(三層石塔)·귀부(龜趺)·당간지주(幢竿支柱)·불좌대(佛座臺) 등 많은 석조물(石造物)들이 남아있어

창건당시(創建當時)의 사격(寺格)을 말해주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