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일상다반사 245

경기둘레길 47코스 일부 걷기행사 (화성 이화리 정류장 ~ 궁평항)

총거리 ; 18,2km / 5시간 30분 매향리에 희망 가득 품은 씨앗을 뿌리다 기아차동차 화성공장 외곽을 돌아 매향리로 들어간다. 매향리는 아픈 근대사를 가진 마을이다. 매향리 앞바다에 있는 농섬을 미군 해상 폭격지로 사용하면서 오랫동안 아팠던 곳이다. 2005년 매향리 사격장은 폐쇄되었고, 그 땅에는 다시 희망이 싹트고 있다. 매향리 평화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있고, 유소년야구장을 만들었다. 길은 매향리 바닷가로 이어지고, 걸음은 초병 순찰로를 따라간다. 직선으로 9km 정도 이어지는 화성방조제는 바람과 함께 걷는 곳이다.[경기도청 홈페지에서]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한국전쟁 중인 1951년부터 매향리 해안 일대는 미 공군 폭격장(쿠니사격장)으로 이용되었으나 주민들의 피해 호소로 2005년 폐쇄된 이후, 공..

관곡지 2부

다시 신현역으로 와서 일정을 종료한다,해마다 두세번은 오는 곳이다, 연꽃도 수련도 이른건 맟지만 그래도 핀 꽃을 찾아다니며 시간을 보내다 보니 헛걸음은 아닌듯해서 다행이다, 오늘은 특히 분재하우스에서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는기회가 있어 찬찬히 둘러본다, 멋진 작품들을 담아왔다, 팔월 초쯤 다시한번 방문하기로 하고 편집을 마맞힌다

독립문 역에서 종로3가 까지 2부 (경복궁과 운현궁)

2022년 12월,17일 경복궁(景福宮, 영어: Gyeongbokgung Palace)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청와대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다. 태조 4년인 1395년 창건되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고, 1868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어 현재 복원사업이 진행중이다. 《주례》 〈고공기〉에 입각하여 건축되었다. 3문 3조로 구성되었는데 각각 외조, 내조, 연조이다. 내조는 근정전을 중심으로 하는데, 궁 밖에서 근정전까지 바깥부터 광화문, 흥례문, 근정문이다.[위키백과에서] 1395년(태조 4년)에 창건하였다. ‘경복(景福)’은 시경에 나오는 말로 왕과 그 자손, 온 백성들이 태평성대의 큰 복을 누리기를 축원한다는 의미다. 풍수지리적으로도 백악산을 뒤로..

김포장릉 2022,11,05,

김포장릉 2022,11,05, 대중교통 김포골드라인 사우(김포시청)역 3번출구 : 장릉 방향 도보 15분 5호선 송정역 1번출구 중앙버스정류장 : 2, 60, 60-3, 88, 388번 버스, 3000번 광역버스 이용 * 버스정류장 명칭 : 사우고.김포시청 → 하차 후 장릉 방향 도보 20분 5호선 송정역 1번출구 중앙버스정류장 : 1002번 버스 이용 인천1호선, 공항철도 계양역 1번출구 : 81, 81-1번 버스 이용 5호선 광화문역 광화문사거리, 2·6호선 합정역 6번출구 중앙버스정류장 : 1004번 광역버스 이용 * 버스정류장 명칭 : 장릉입구 → 하차 후 장릉 방향 도보 20분 [김포장능 홈페지에서] 김포 장릉(金浦 章陵)은 사적 제202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이다. 선조의 아들..

한양 도성길 (숭레문 ~ 남산 ~ 광희문) 2부 ; 남산에서 광희문까지

남산을 출발해서 주차장 뒤쪽 정자에서 간식과 휴식을 갇고 성곽을따라 계속 걷는다, 가을로 물드는 숲속길이 정말 아름답다, 국립극장도 지나고 신라호텔 주차장으로 난 길도 통과해서 여기서 부터는 내성쪽을 걷는다, 그 오랜 역사가 이 길위에 있을 듯 한데 앙증맞은 작은 소나무가 곳곳에서 성벽을 지키고 있다, 장충 체육관에서 끊어진 성곽을 찾아 길을 건너고 좁은 길도 지나 광희문과 함께 남아있는 성곽과 마주한다, 어떤일이 있어도 역사는 보존되야 한다는 생각이 왜이리 절실한지 모르겟다 https://tv.kakao.com/v/433000913 카톡으로 받은 사진

시흥시 연꽃 테마파크 2부 ; 올해 두번쩨(2022,08,18)관곡지

8월달에는 코로나확진자도 널에나고 날씨도 장마에 태풍에 연일 폭우가 쏟아저 꼼짝 못하고 집에만 있다 6월달에 다녀왔는데 아쉬움이 있었든 터라 동행을 수소문 하다 여의치않아 혼자나선다, 맑은하늘을 기대 했는데 구름이 많아 걱정도 되지만 오늘은 자전거길을 따라 보통천변으로 걸어서 시흥시 연꽃 타마파크에 도착한다, 절정은 지난듯 분위기는 어수선 하지만 오늘은 꽌곡지가 목적이아니고 오로지 연꽃만 보러 온것이다, 작은 물고기가 수련잎 위에 튀어올라 복귀를 못해 죽어있는모습도 많이 눈에 뛰었고, 유치부 아이들의 집단 방분은 정말 멋진 풍경이었다, 한바퀴를 그렇게 돌고 인적이 뜸한 쉽터에서 빵으로 중식을 마치고 다시 한바퀴 돌아보고 천변을따라 왔든길로해서 신현역에 도착, 오늘일정은 종료한다 [편집자] 관곡지(官谷池)..

시흥시 연꽃 테마파크 1부 ; 올해 두번쩨(2022,08,18)관곡지

관곡지의 규모는 가로 23m, 세로 18.5m이다. 이 연못은 조선 전기의 농학자인 강희맹이 세조 9년 명나라에 다녀와 중국 남경에 있는 전당지에서 연꽃 씨를 채취해, 지금의 시흥시 하중동 관곡에 있는 연못에 씨를 심어 재배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안산군의 별호를 1466년 세조 12년부터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관곡지는 강희맹의 사위인 권만형의 집 가에 있어 대대로 권만형의 후손 소유가 되어 관리 되어오고 있으며, 현재 시흥관내의 연성초등학교, 연성중학교 등 교명과 연성동의 동명 및 시흥시의 문화제 명칭인 《연성문화제》라는 이름은 이 못에서 유례되었다. 관곡지의 연꽃은 다른 연꽃과는 달리 꽃은 색은 희고, 꽃잎은 뾰족한 담홍색을 지니고 있는게 특징이다.[위키백과에서] https..

관곡지(官谷池) 1부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연못이다. 1986년 3월 3일 시흥시의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다. 관곡지의 규모는 가로 23m, 세로 18.5m이다. 이 연못은 조선 전기의 농학자인 강희맹이 세조 9년 명나라에 다녀와 중국 남경에 있는 전당지에서 연꽃 씨를 채취해, 지금의 시흥시 하중동 관곡에 있는 연못에 씨를 심어 재배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안산군의 별호를 1466년 세조 12년부터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관곡지는 강희맹의 사위인 권만형의 집 가에 있어 대대로 권만형의 후손 소유가 되어 관리 되어오고 있으며, 현재 시흥관내의 연성초등학교, 연성중학교 등 교명과 연성동의 동명 및 시흥시의 문화제 명칭인 《연성문화제》라는 이름은 이 못에서 유례되었다. 관곡지의 연꽃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