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곡지 3 관곡지 관곡지는 강희맹의 사위인 권만형의 집 가에 있어 대대로 권만형의 후손 소유가 되어 관리 되어오고 있으며, 현재 시흥관내의 연성초등학교, 연성중학교 등 교명과 연성동의 동명 및 시흥시의 문화제 명칭인 《연성문화제》라는 이름은 이 못에서 유례 되었다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15
관곡지 2 관곡지 관곡지의 규모는 가로 23m, 세로 18.5m이다. 이 연못은 조선 전기의 농학자인 강희맹이 세조 9년 명나라에 다녀와 중국 남경에 있는 전당지에서 연꽃 씨를 채취해, 지금의 시흥시 하중동 관곡에 있는 연못에 씨를 심어 재배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안산군의 별호를 1466..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15
관곡지 1 관곡지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의 향토유적 제8호이다. 하중동 208번지에 위치해 있다. 관곡지의 연꽃은 다른 연꽃과는 달리 꽃은 색은 희고, 꽃잎은 뾰족한 담홍색을 지니고 있는게 특징이다.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15
소리산 2 [산우물 7월 산행겸 야유회] 산행 소리산 중턱까지 올랐을때 계곡의 주차장에 뻐쓰들이 작게 내려다 보이고 가끔은 바람이 불어와 땀을 식힌다 소리산의 험준한 산이다 소나무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나라 토종 소나무가 절묘하게 자리잡고 멋진 풍경을 연출한다 그 모습에 많은 시간을 빼았겼다 그런데 화마의 ..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10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5 서오능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서오능 명릉은 조선 능제의 분수령이 되는 것으로서 그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물의 치수를 실물에 가깝게 했으며 부장품의 수량도 감소했다. 둘째, 문인석의 미소와 무인석의 늘어진 투구와 이마에 새긴 투구의 파상선 등은 1649년에 조영된 장릉 석..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07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4 서오능 세계의 문화유산 서오능 즉 상석을 받친 석족(石足)은 일반적으로 4개의 양각 귀면이지만 창릉은 문고리 모양을 조각했으므로 북과 흡사한 느낌을 준다. 또 난간석의 기둥머리는 연잎과 연주문(連珠紋)이 보편적이지만, 창릉의 큰 석주는 둥근머리 밑에 환상받침을 마련하고 사각 석주로..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07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3 서오능 세계의 문화유산 서오능 경릉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왕릉은 왕의 것이 오른쪽에, 왕비의 것이 왼쪽에 조성되지만 이것은 반대로 왕릉이 왼쪽에, 왕비릉이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형식이다. 추존왕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왕릉에 나타나고 있는 난간석이나 망주..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07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2 서오능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서오능 서오능 에서 오른쪽으로 별도로 입장하는 명능이있다 이 능은 유일하게 게방된 능으로서 가까이서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조심스럽게 발걸음을 내딧고 잔듸를 밟으며 가까이 가 본다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07
세계의 문화유산 조선왕능 1 서오능 오서능 김씨의 익릉, 1721년(경종 1) 숙종과 그 계비인 인현왕후 민씨와 제2계비인 인원왕후 김씨의 명릉, 1757년(영조 33) 영조의 비인 정성왕후 서씨의 홍릉이 들어서 능의 무리를 이루었다. 그밖에 이곳에는 명종의 큰아들인 순회세자의 순창원(順昌園)이 경내에 있으며, 1970년에 숙종의 후..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7.05
우리집 화단과 베란다 우리집 화단과 베란다에 화분 화단에는 호박이 새로단장된 울타리를 타고 꽃을 피우고 호박이 열린다 그리고 일부러 가꾸는 것도 아닌데 나리꽃은 꽃을 피웠다 산국화는 가을에 꽃을 피우는데 정자나무처를 튼튼하게 자라고 있다 방 베란다에 기르고 있는 화분에도 정성을 드리는 만큼 .. 디카 세상/디카 사진 2014.06.30